신용점수 구간별 신용등급 점수표 | 신용평가사 1등급은 몇점?

국내 대표 신용평가사 두곳인 올크레딧(KCB)와 나이스(NICE)는 지난 2021년부터 기존 신용등급제를 폐지하고 신용점수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신용점수 구간별 신용등급을 나타낸 신용등급 점수표를 확인하고, 내 신용점수를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신용점수 구간별 신용등급 점수표 요약

✅ 2021년부터 기존 신용등급제 폐지 후 신용점수제 도입

✅ 신용평가사 2곳 올크레딧(KCB), 나이스(NICE)의 신용평가 기준이 다름

✅ 개인 신용점수는 신용평가사 홈페이지 또는 금융어플을 통해 무료로 조회 가능

신용등급 점수표

신용점수 vs 신용등급

지난 2021년부터 신용평가사에서는 기존의 신용등급제 대신 신용점수제를 도입하여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금융기관은 고객들의 금융상품 가입여부를 신용평가사에서 제공하는 개인신용도를 기준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용평가사의 신용점수를 잘 관리해야만 개인 자산 운용 및 신용거래에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신용평가사 두곳의 신용평가 기준을 알아보고 기존의 신용등급제에 해당하는 현재의 신용점수 등급표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용평가사 평가기준

국내에 존재하는 개인신용평가 기관은 올크레딧(KCB)와 나이스(NICE) 두 곳입니다. 두 기관에서는 국내 모든 금융기관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신용거래를 기준으로 신용도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두 기관의 신용도에 따라 금융사의 많은 서비스 이용의 기준이 정해집니다. 하지만 두 신용평가사에서 신용도를 평가할 때 중점적으로 보는 기준이 살짝 다르다고 알려져있습니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에 대해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 KCB vs NICE 신용점수 차이점

KCB vs NICE 신용평가 기준표

올크레딧과 나이스 두 신용평가사의 구체적인 신용도 평가기준은 위에서 설명드린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점만 추려 두 신용평가사의 신용점수 평가 비중을 살펴보겠습니다.

신용도 평가기준KCBNICE
상환이력21%30.6%
신용 거래 형태38%29.7%
부채 수준24%26.4%
신용 거래 기간9%13.3%
비금융/마이데이터8%0%

위의 기준으로 신용도를 평가하며 현재 기준으로는 신용점수가 산출되게 됩니다. 과거의 신용등급 환산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의 신용등급 점수표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신용등급 점수표

두 신용평가사에서 2021년부터 시행중인 신용점수제를 바탕으로 신용등급표로 환산한 신용등급 점수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신용등급올크레딧(KCB) 점수나이스 (NICE) 점수
1등급942 ~ 1000900 ~ 1000
2등급891 ~ 941870 ~ 899
3등급832 ~ 890840 ~ 869
4등급768 ~ 831805 ~ 839
5등급698 ~ 767750 ~ 804
6등급630 ~ 697665 ~ 749
7등급530 ~ 629600 ~ 664
8등급454 ~ 529515 ~ 599
9등급335 ~ 453445 ~ 514
10등급0 ~ 3340 ~ 444

두 신용평가사의 신용도 평가 방법이 다르다보니 개인의 신용점수 또한 평가 기관에 따라 다르게 산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한 기관에서는 1등급에 해당할지라도 다른 기관 점수로는 2등급 또는 3등급에 해당하는 점수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두 기관 모두에서 좋은 신용점수를 유지하려면, 평소 신용점수 하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개선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신용점수 하락이유 및 관리방법

신용점수 무료 조회 방법

금융권 신용거래가 빈번한 현대인들은 매순간 본인의 신용도를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신용점수에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신용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종종 신용점수를 조회해보고 하락하지 않도록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신용점수 무료 조회 방법을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용평가사 직접 조회

올크레딧 및 나이스 신용평가사 두 곳의 공식홈페이지에서 직접 조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 기관 보두 1년 내 3회 무료 조회가 가능합니다.

✅ 올크레딧(KCB) 신용점수 조회 바로가기 ✅ 나이스(NICE) 신용점수 조회 바로가기

금융 어플리케이션 연계 조회

카카오뱅크와 토스 등의 오픈뱅킹을 포함한 다양한 금융 어플리케이션은 두 신용평가사와 제휴를 통해 신용점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금융어플올크레딧(KCB)나이스(NICE)
토스OO
카카오뱅크OX
카카오페이OX
네이버페이XO
페이코OX
핀크OX
PASSXO

상기 표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올크레딧(KCB)와 나이스(NICE) 두 곳의 신용점수를 모두 조회할 수 있는 어플은 토스가 유일합니다.

✅ 토스 다운로드 바로가기 ✅ 카카오뱅크 다운로드 바로가기

신용등급 점수표 자주 묻는 질문 (FAQ)

Q. 신용점수 조회는 무료인가요? 무료 이후에는 조회가 불가한가요?

신용평가사 두 곳 공식홈페이지에서는 신용정보법에 따라 1년 3회까지 무료로 조회 가능합니다. 이후 더 조회가 필요하신 분들은 토스앱을 통해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Q. 우리은행 CB구간은 무엇인가요?

CB는 신용평가사를 지칭하는 것으로 올크레딧(KCB)와 나이스(NICE)를 의미합니다. 우리은행 CB 구간이란 것은 신용평가사의 신용점수를 기준으로 산정한 우리은행에서 자체적으로 운영중인 신용등급 구간입니다. 우리은행은 2021년 전국적으로 신용점수제가 도입되자 자체적으로 이 CB구간을 기준으로 고객의 상품을 가입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 CB구간은 우리은행 공지사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 신용점수를 조회하면 신용도가 하락하나요?

예전에는 신용도 조회만으로도 신용도가 하락한다고 알려져있었습니다. 그러나 신용평가사는 실제로는 2011년 10월 이후 신용조회정보 여부가 개인신용평점 산출 시 활용되지 않고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개인이 자신의 신용도를 조회한 사실을 원칙적으로 타기관에 제공하지 않으며, 조회일로부터 3년 후 조회 기록 또한 자동으로 삭제된다고 합니다.

Q. 신용카드가 많으면 신용점수가 하락하나요?

올크레딧과 나이스 두 곳의 평가기준이 다르기때문에 단순히 신용카드의 갯수만으로 신용점수 상승 또는 하락을 예측할 수는 업습니다. 단 단적으로 보면 신용카드를 만들고 각 카드의 매달 실적 30만원 이상을 사용하면서 연체없이 소득대비 적당한 소비를 하고 있다면 신용도는 오히려 상승할 수 있습니다.

Q. 연체중인 대출을 상환했는데 신용도가 바로 다시 회복되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연체이력이 발생할 경우 일정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신용평가에 반영됩니다. 따라서 연체금을 상환한 경우라도 이미 하락한 신용점수가 즉시 회복되지는 않습니다. 연체 자체가 신용도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은 최장 5년정도라고 하며, 따라서 다시 온전한 회복을 하는데는 상당기간 연체없는 신용거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신용도 관리를 위해서는 애초에 연체이력이 남지 않도록 제때 대출금을 상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1 thought on “신용점수 구간별 신용등급 점수표 | 신용평가사 1등급은 몇점?”

Comments are closed.